투자

퇴직 연금 DB DC 어느 것이 좋은가??

재민스 2021. 12. 19. 07:37
반응형

DB형

(Defined Benefit, 확정 급여)

퇴직급여가 근무 기간과 평균 임금에 의해 확정된 제도입니다.

사용자는 매년 부담금을 금융회사에 사외 적립하여 운용하며 근로자는 퇴직 시 확정된 퇴직급여를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B 적립금의 운용성과는 사용자(기업)에게 귀속되며 근로자가 수령하는 퇴직 급여액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퇴직금 = 퇴직 시 평균 임금(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 X 근속연수

DB  형 퇴직금 모의 계산기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www.moel.go.kr

 

DC형

(Defined Contribution, 확정 기여)

매년 사용자(기업)가 납입할 부담금이 연간 임금총액의 1/12 이상으로 확정된 제도입니다.

사용자는 매년 근로자 연간 임금총액의 1/12 이상을 부담금으로 납부하고 근로자는 자기책임 하에 적립금을 운용하여 퇴직 시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수령합니다.

따라서 퇴직 시 지급받는 금액이 자신이 운용한 성과에 따라 변동됩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퇴직금 = 매년 임금 총액의 1/12 ± 투자수익 or 손실

 

어느 것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까 ??

DB형은 기존의 퇴직금 제도와 같이 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에 근속연수를 곱해서 확정 지급하므로

급여가 퇴직전까지 꾸준히 오른다는 가정하에 최선의 선택입니다.

금융투자 보다는 회사의 승진을 중요시 여기는 사람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즉 임금 상승률 > 투자 수익률 인 분에게 유리합니다.

 

DC형은 임금 상승기회가 적거나, 임금피크 적용을 앞둔 사람에게 유리합니다.

회사에 목메기 보다는 노후준비를 위해서 자금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임금상승률 < 투자 수익률 인 분에게 유리합니다.

 

임금 상승은 되지만, 임금 피크제를 앞두었다면, 적용 전에 DB에서 DC로 바꾸어야 합니다.

 

유의 사항 !!

DB형은 재직 중 중도 인출이 불가합니다.  중도 인출을 위해서는 DC로 전환해야 합니다.

DB에서 DC로 전환은 가능하지만, DC에서  DB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되지 않습니다.

 

아직 결론을 못 내렸다면 ?

체크리스트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소심한 나로서는 임금피크제 전까지 공부를 하면서, IRP 계좌 열고 투자하고, DC로 바꾸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