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7

2.3. Session timeout 설정 [S-07] (상)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상세 가이드(2021)

가. 취약점 개요 ■ 내용 : 보안장비의 정책에 Session timeout 설정을 적용하였는지 점검 ■ 목적 : 보안장비 관리 작업 완료 후 사용자의 부주의로 계정이 접속한 상태로 방치 되는 경우를 방지하며 사용하지 않는 세션을 종료하여 가용성을 높이기 위함 ■ 보안 위협 - 보안장비에 접속한 사용자가 자리 이석을 하거나 불완전한 세션 종료를 했을 경우, 이석한 자리는 이미 보안장비에 접속한 상태이므로 권한 없는 사용자가 이석한 자리에서 보안정책 삭제나 변경 등 악의적인 행위를 하거나 불완전한 세션 종료를 한 세션 정보를 재사용하여 인증 없이 보안장비에 접근할 수 있음 ■ 참고 - Session timeout : 로컬 또는 원격에서 보안장비에 접속한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통신이 없을 시 해당 세션을 ..

2.2. 보안장비 보안 접속 [S-06] (상)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상세 가이드(2021)

가. 취약점 개요 ■ 내용 - 보안장비에 접속할 때 암호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속하는지 여부를 점검 ■ 목적 - 보안장비 접속 시 평문 전송하는 Telnet, HTTP 접속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가 암호화되는 SSH, SSL 인증 등의 암호화 접속을 통하여 공격자의 데이터 스니핑에 대비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Telnet 또는 HTTP 통신은 암호화 전송이 아닌 평문 전송을 하므로 공격자가 스니핑을 시도할 경우 관리자의 ID, 패스워드가 노출되어 악의적인 사용자가 관리자 계정을 탈취 할 수 있음 ■ 참고 - 스니핑(Sniffing): 스니퍼(Sniffer)는 "컴퓨터 네트워크상에 흘러다니는 트래픽을 엿듣는 도청장치"라고 말할 수 있으며 "스니핑"이란 이러한 스니퍼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상의 데이터를 도..

2.1. 보안장비 원격 관리 접근 통제 [S-05] (상)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상세 가이드(2021)

가. 취약점 개요 ■ 내용 : 보안장비 원격 관리 시 관리자 IP 또는 특정 IP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하 였는지 점검 ■ 목적 : 보안장비에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는 IP를 등록함으로써 비인가자의 보안장비 접근을 차단하고 보안장비에 접근이 허용된 특정인들만 보안장비에 접근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보안장비 원격 관리 시 특정 IP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하지 않을 경우, 외부에 있는 공격자에 의해 계정이 탈취 당하였을 때 보안장비 접근이 가능하게 되어 보안장비 설정 값을 변경하여 보안장비를 무력화 시킬 수 있음 ■ 참고 - 보안장비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접근제한 기능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 또는 콘솔 장비의 허용된 IP만을 등록하고 접근을 제한할 수 있음 - 보안장비 원격 관리를 원칙적으로..

1.5. 로그인 실패 횟수 제한 [S-17] (중)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상세 가이드(2021)

가. 취약점 개요 ■ 내용 - 보안장비에서 제공하고 있는 로그인 임계값 설정의 활성화 여부 점검 ■ 목적 - 보안장비에서 제공하는 로그인 실패횟수 제한 기능을 사용하여 공격자의 자동화 툴을 이용한 패스워드 대입 공격을 막기 위함 ■ 보안 위협 - 로그인 실패횟수 제한 기능을 활성화 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공격자는 자동화된 방법을 통하여 무작위 대입 공격이나 사전 대입 공격 등을 시도하여 계정의 패스워드를 탈취할 수 있음 ■ 참고 - 기종에 따라 Limited/Lockout로 표시됨 - 보안장비에 계정 잠금시간 기능을 지원할 시 함께 설정하면 보안성이 향상됨 나. 점검방법 ■ 대상 : 방화벽, IPS, VPN, IDS, Anti-DDoS, 웹방화벽 등 ■ 판단기준 - 양호 : 로그온 실패횟수를 5회 이..

1.4. 보안장비 계정 관리 [S-04] (상)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상세 가이드(2021)

가. 취약점 개요 ■ 내용 - 보안장비에 등록되어 있는 계정 중 사용하지 않는 계정을 제거 또는 관리하고 있는지 점검 ■ 목적 -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계정을 관리함으로써 관리되지 않은 계정을 통한 공격을 차단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보안장비에 등록되어 있는 불필요한 계정을 관리하지 않을 경우, 공격자의 무작위 대입 방법이나 사전 대입 공격에 의해 불필요한 계정을 통한 접근 위험이 존재하며 공용계정 및 휴면계정이 존재할 경우 계정 탈취 시 침해사고 발생 때 사후 추적이 어려움 ■ 참고 - 계정은 1인 1계정 사용을 원칙으로 운영해야 하며, 계정의 공용을 금지하여야 함 나. 점검방법 ■ 대상 : 방화벽, IPS, VPN, IDS, Anti-DDoS, 웹방화벽 등 ■ 판단기준 - 양호 : 불필요한 공용..

1.3. 보안장비 계정별 권한 설정 [S-03] (상)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상세 가이드(2021)

가. 취약점 개요 ■ 내용 - 보안장비에 등록한 계정들에 대해 업무에 불필요한 권한 여부 점검 ■ 목적 - 보안장비에 등록한 계정의 용도별 권한부여를 함으로써 권한 없는 사용자의 설정 변경으로 인한 시스템 침입 경로 유출 위험을 줄이고 관리자 계정이 아닌 일반계정이 공격자에게 탈취되었을 때 보안장비를 장악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보안장비 계정별 권한 설정이 없을 경우, 권한 없는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보안정책 수정이나 보안장비 설정 값 변경을 통하여 공격자에게 시스템 침입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음 ■ 참고 - 관리자 권한은 최소한의 계정에만 부여 나. 점검방법 ■ 대상 : 방화벽, IPS, VPN, IDS, Anti-DDoS, 웹방화벽 등 ■ 판단기준 - 양호 : 사용자별 계정의 용도 파..

1.2. 보안장비 Default 패스워드 변경 [S-02] (상)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상세 가이드(2021)

가. 취약점 개요 ■ 내용 - 보안장비에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관리자 계정의 패스워드를 변경 없이 사용하고 있는지 점검 ■ 목적 - 보안장비의 기본 관리자 계정 패스워드는 인터넷이나 매뉴얼 등에 공개되어 있으므로 보안장비의 기본 관리자 계정 패스워드를 변경하여 공격자가 기본 관리자 계정 정보를 통해 보안장비를 장악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보안장비의 기본 관리자 계정 패스워드를 변경하지 않을 경우, 공격자가 공 개된 기본 관리자 계정의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장비에 불법적인 접근을 시도 해 보안장비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써 시스템 침입 경로 제공 및 보안장비를 무력화 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함 ■ 참고 - Default 패스워드: 장비 제조업체에서 출고 시 설정되어 나오는 기본 관리자 계정의..

1.1 보안장비 Default 계정 변경 [S-01] (상)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상세 가이드(2021)

가. 취약점 개요 ■ 내용 - 보안장비에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관리자 계정의 변경 여부 점검 ■ 목적 - 보안장비의 기본 관리자 계정 패스워드는 인터넷이나 매뉴얼 등에 공개되어 있으므로 보안장비의 기본 관리자 계정을 변경하여 공격자가 기본 관리자 계정 정보를 통해 보안장비를 장악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보안장비의 기본 관리자 계정을 변경하지 않을 경우, 공격자가 공개된 기본 관리자 계정의 정보들을 통하여 보안장비에 불법적인 접근을 시도해 보안장비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써 시스템 침입 경로 제공 및 보안장비를 무력화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함 ■ 참고 - Default 계정: 장비 제조업체에서 출고 시 설정되어 나오는 기본 관리자 계정정보 나. 점검 방법 ■ 대상 : 방화벽, IPS, VP..

주식용어 - PER PBR PSR ROE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비율 PER = 현재 주가 / 주당 순이익 예를 들어 한 주에 5만원인 회사가 1년에 주당 만원의 순이익을 낸다면, PER = 5,0000 / 10,000 = 5 가 됩니다. 즉 PER이 높다라는 것은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다라는 것입니다. PER이 낮은 주식은 일반적으로 "저평가 되었다" 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다만, PER 산출 시 주당 순이익은 전년도 순이익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PSR Price Sales Ratio 주가 매출 비율 PSR = 현재 주가 / 주당매출액 즉. 한 주를 기준으로 가격을 매출액으로 나눈 것입니다. PSR이 1 미만이라면 현재 주가가 주당 매출액보다 낮은 것을 뜻합니다. 만약 주가가 그대로이고 매출액이 높아진다면,..

투자 2021.12.13

모멘텀 전략과 변동성 전략

기본적으로 손실를 보지 않아야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소심한 나로서는 크게 먹고 크게 잃는 모험적인 투자 보다는 안정적이고 잃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전의 달러 투자를 통해 손해보지 않는 방법과 이번에 소개할 모멘텀 전략, 변동성 전략으로 손실을 보지 않는 투자를 하고자 합니다. 내 맘대로 책 읽기 - 주식투자 ETF로 시작하라 (이성규) 리벨런싱 주식시장에서 상승과 하락 방향성의 예측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승과 하락의 확률은 동일학 50%로 전제해야 한다는 가정하에 '주식과 현금'을 1:1로 나누어 주기적으로 리밸런싱하는 jaeminsg.tistory.com 모멘텀 전략은 상승 시 비중 증가, 하락시 비중 축소의 추세 추종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변동성 전략은 변동성..

투자 2021.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