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 저것

자극과 반응 사이의 공간

재민스 2022. 1. 8. 06:40
반응형

 

 

빅터 프랭클은 유태인 정신과 의사이자 심리학자입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의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갇혀 극한의 상황을 경험하였을때,

죽음의 벼랑 끝에서 판이한 모습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음을 목격하게 되고 의문을 갖게 됩니다.

절망의 끝자락이라 할 수용소에 똑같이 갇혀 있는데, 왜 누구는 품격을 유지하고 누구는 무절제해질까?

그는 극도의 비참함 앞에서 그처럼 결정적인 차이를 만들어 낸 것은 다름 아닌 ‘인생에 대한 태도와 의미 추구’라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그는 자신의 인생의 의미를 스스로 찾아가는 ‘의미 치료’를 개발하게 됩니다.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
- 빅터 프랭클

 

조건 반사 처럼 즉각적인 반응이 전부가 아니라, 자극과 반응 사이에  우리가 선택 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는 말입니다.

 

석가모니는 욕하는 것에 대해 선물의 비유를 했습니다. 

상대가 나에게 선물을 주었지만, 내가 받지 않는 다면 그 선물은 누구에게 가는가.  상대가 욕하는 것에 대해 내가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그 욕은 어디로 가는가.

 

교류 분석에서는 자아상태를 부모와 어린아이 등으로 나누고 그에 따른 반응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외부의 자극에 대해 내가 끌려다닐 필요가 없습니다.

내가 내 삶을 경영합니다.  삶의 주도권은 나에게 있습니다.

 

새벽 루틴 중  [마보 앱]을 통한 명상 중 나온 얘기를 찾아보고 공감이 되었습니다.

꿈을 갖고 확언을 하고 시각화를 하는 이 모든 것이

되는 대로 살아가는 것에서 탈피해서 

내 삶의 주도권을 내가 갖고 싶다는 잠재의식의 발현이었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 교육하고 다닐 때, 이 법의 요지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는 것이다." 라고 설명하였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성적 자기결정권 도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고 보면 자기결정권이라는 단어를 매우 좋아했던 것 같습니다.

 

자극과 반응사이 의 공간의 자기결정권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나는 외부의 어떤 환경이나, 자극과 위협에도  나의 행동, 나의 삶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 참..

마보 앱의 명상에서는 

지금 일어나는 모든 것을 판단하지 않고 온전히 바라볼 수 있는 '마음챙김' 이라는 마음의 힘을 기르는 훈련을 통해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통찰력을 기를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를 통해 자극과 반응사이에서,  내가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상 

어느 새벽의 명상 중 잔상 이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