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정보통신기반기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상세가이드/WEB 진단

23. 파일 다운로드 WEB [FD]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상세 가이드(2021)

재민스 2021. 11. 10. 11:00

가. 취약점 개요

    내용 : 웹 사이트에서 파일 다운로드 시 허용된 경로 외 다른 경로의 파일 접근이 가능한지 여부 점검

    목적 : 파일 다운로드 시 허용된 경로 외 다른 경로의 파일 접근을 방지하여 공격자가 임의의 위치에 있는 파일을 열람하거나 다운받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함

    보안 위협

    -      해당 취약점이 존재할 경우 공격자는 파일 다운로드 시 애플리케이션의 파라미터 값을 조작하여 웹 사이트의 중요한 파일(DB 커넥션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 또는 웹 서버 루트에 있는 중요한 설정 파일(passwd, shadow )을 다운받을 수 있음

    -      cgi, jsp, php 등 파일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해주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되는 경로를 검증하지 않는 경우 임의의 문자(../.. )나 주요 파일명의 입력을 통해 웹 서버의 홈 디렉터리를 벗어나서 임의의 위치에 있는 파일을 열람하거나 다운받는 것이 가능함

    참고

    ※ 소스코드 및 취약점 점검 필요

 

나. 점검방법

    대상 : 웹 애플리케이션 소스코드, 웹 서버, 웹 방화벽

    판단기준

    -      양호 : 다운로드 파일이 저장된 디렉터리 이외에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      취약 : 다운로드 파일이 저장된 디렉터리 이외에 접근이 가능한 경우

    점검방법

    Step 1) 웹 사이트에 cgi, jsp, php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파일을 다운받는 페이지가 있는지 조사

     

    Step 2) 웹 사이트에서 파일 다운로드 시 요청(Request) 정보에 파일 경로를 웹 서버(웹 사이트 포함) 중요 파일                    (winnt\win.ini, /etc/passwd )의 상대 경로(../)로 치환한 후 전송했을 때 해당 경로 파일들을 다운로드 가능한지 확인

            ../../../../../../../../../../../../etc/passwd

            ../../../../../../../../../../../../winnt/win.ini

            ../../../../../../../../../../../../boot.ini

    Step 3) "Step 2"에서 파일 다운로드가 불가능한 경우 변조한 파일 경로를 아래의 인코딩(또는 치환, 종단문자추가) 적용하여 재전송 다운로드 가능한지 확인

       -        URL 인코딩: .(%2e), /(%2f), \(%5c)

        -        16bit 유니코드 인코딩: .(%u002e), /(%u2215), \(%u2216)

        -        더블URL 인코딩: .(%252e), /(%252f), \(%255c)

        -        경로 치환: …//, ….\\, ….\/, …./\

        -        종단 문자 추가: [파일명]%00.jpg, [파일명]%0a.jpg

 

다. 조치방법

     다운로드 시 허용된 경로 이외의 디렉터리와 파일에 접근할 수 없도록 구현

     보안설정방법

    -      파일 다운로드의 취약성은 주로 파일의 이름을 조작하는 데서 비롯되므로 다운로드 파일 이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다운로드 수행 시 요청 파일 이름과 비교하여 적절한지 확인하여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변수를 제거함

    -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 소스 파일을 수정하여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는 디렉터리를 특정 디렉터리로 한정하고 이 외의 다른 디렉터리에서는 파일을 다운받을 수 없도록 설정해야 함

    -      PHP를 사용하는 경우 php.ini 에서 magic_quotes_gpc On으로 설정하여 .\./ 와 같은 역 슬러시 문자 입력 시 치환되도록 설정

    -      파일 다운로드의 절대 경로 설정 및 DocBase의 상위경로 또는 타 드라이브로 설정을 변경함

    -      다운로드 경로 정보를 자바스크립트나 js 소스에서 확인할 수 없게 제한하며, 웹 서버 서블릿 내부 또는 별도의 설정 파일에서 관리

    -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페이지의 유효 세션 체크 로직 필수 적용

    -      다운로드 시 사용되는 파라미터 값 대상으로 아래의 특수 문자를 필터링하도록 웹 방화벽 룰셋 적용

문자 설명
. Path Traversal 가능성의 확인
/ 특정 Path 접근 가능성을 확인
\ 운영환경에 따른 Path 접근 확인
% UTF 인코딩 파라미터

    ASP

    -      () 필터링 처리 (※ 예로 제시하는 것으로, 구현 시 다를 수 있음)    

.....
file = Request.form(“file”) Response.ContentType = “application/unknown”
Response.AddHeader “Content-Disposition”, “attachment; filename=” & file
Set objStream = Server.CreateObject(“ADODB.Stream”)
strFile = Server.MapPath(“./uploadfiles”) & \” & file
strFname = Mid(Fname, InstrRev(file, \”) +1)
if strFile = strFPath Then
.....

    ASP.net

    -      () ASP.net 예외처리 (※ 예로 제시하는 것으로, 구현 시 다를 수 있음)

    -      .NET 환경은 자체적으로 Path Traversal을 막고 있으므로, 소스 자체적인 별다른 조치는 필요가 없으나 일부 .NET 버전에 해당 보안 매커니즘을 우회할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된 사례가 있으므로, 최신 패치를 설치할 것을 권고함. 해당 패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Global.asax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하여야 함

<script language="C#" runat="server">
void Application_BeginRequest(object source, EventArgs e)
{ if (Request.Path.IndexOf(' \ \') >= 0 ||
System.IO.Path.GetFullPath(Request.PhysicalPath) != Request.PhysicalPath) {
throw new HttpException(404, "not found");
}
}</script>

    PHP

    -      () 필터링 처리 (※ 예로 제시하는 것으로, 구현 다를 있음)

if (preg_match(“/[^a-z0-9_-]/I”, $up_dir))
print “디렉터리의 특수 문자 체크”;
exit;
if(preg_match(“/[^\xA1-\xFEa-z0-9._-]/I”, urldecode($dn_file_name)))
print "파일 이름의 특수문자 체크";
exit;

    JSP

    -      () 필터링 처리 (※ 예로 제시하는 것으로, 구현 시 다를 수 있음)

String UPLOAD_PATH= "/var/www/upload/";
String filename= response.getParameter("filename");
String filepathname = UPLOAD_PATH + filename;
if(filename.equalsIgnoreCase(".") || filename.equalsIgnoreCase("/")|| filename.equalsIgnoreCase(" \"))
// 파일명 체크
return 0;
// 파일 전송 루틴 response.setContentType("application/unknown; charset=euc-kr");
response.setHeader("Content-Disposition","attachment;filename=" + filename + ";"); response.setHeader("Content-Transfer-Encoding:" , "base64");
try {
BufferedInputStream in = new BufferedInputStream(new FileInputStream(filepathname));
.........
} catch(Exception e) {
// 에러 체크 [파일 존재 유무 등]
}

 

라. 조치시 영향

    일반적으로 영향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