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T 방어 솔루션 기능중에 샌드박스기능이 있었습니다. 이 샌드박스 기능이 윈도우에서도 가능하다는 것을 유튜브 보고 알았습니다. 샌드박스는 모래상자라고 직역이 되는데, 이 안에서 어떠한 일을 해도 본체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악성코드로 의심되는 파일이 있으면, 이 샌드박스안에서 실행시켜 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 10 프로 버전 이상에서 가능합니다. 그리고 Hyper-V 에 대한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가능한지 알아보는 방법은 명령 프롬프트를 띄워서 systeminfo를 입력합니다.
os이름에 10 pro 를 확인 할 수 있고 맨 아래에는 Hyper-V 요구사항이 출력됩니다.
모두 "예" 로 표시되면 가능합니다.
윈도우 10 샌드박스 활성화
작업표시줄 검색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Windows 샌드박스 체크 > [확인]
완료되었습니다.
[다시 시작]을 눌러서 컴퓨터를 재 부팅합니다.
재 시작 완료 후 시작 버튼을 눌러 보면 Windows Sandbox 아이콘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샌드박스 실행창 입니다.
최초 로딩 시간이 좀 걸립니다.
시스템 사양에 따라 로딩 완료 시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당연히 사양이 좋을수록 빨리 로드 됩니다.
로딩 완료 후 샌드박스의 모습 입니다.
현재 사용중인 윈도우10 안에 또 다른 윈도우10이 실행된 모습 입니다.
윈도우10 샌드박스의 해상도는 기본적으로 내 컴퓨터 본체의 해상도를 따릅니다.
샌드박스는 실험용 윈도우10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특히 윈도우10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레지스트리 수정이라던지,
어떤 시스템 패치 등등의 실험을 샌드박스를 통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변경해가며 테스트를 하고 오류가 발생한다면 샌드박스를 끄고 다시 새것처럼 재시작할 수 있으니 시간적으로 상당히 유리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하는 진짜 윈도우10에서 실험을 해서 오류가 생기면 포맷하고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시간이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보안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취약점 진단을 위한 버프스위트(Burp Suite) 사용법 (II) - 설정하기 (0) | 2025.01.23 |
---|---|
웹 취약점 진단을 위한 버프스위트(Burp Suite) 사용법(I) - 설치하기 (0) | 2025.01.23 |
3. 개인정보 처리 단계 별 요구 사항 (22개)/ 세부항목 (91개) [ISMS-P] (0) | 2022.03.24 |
SSL 가시성 확보의 필요성과 원리 (0) | 2022.02.11 |
2. 보호대책 요구사항(64개)/세부항목(192개) [ISMS-P] (0) | 2021.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