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Security)

윈도우에서 샌드박스 설정하기

재민스 2023. 1. 11. 13:33
반응형
APT 방어 솔루션 기능중에 샌드박스기능이 있었습니다. 이 샌드박스 기능이 윈도우에서도 가능하다는 것을 유튜브 보고 알았습니다. 샌드박스는 모래상자라고 직역이 되는데, 이 안에서 어떠한 일을 해도 본체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악성코드로 의심되는 파일이 있으면, 이 샌드박스안에서 실행시켜 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 10 프로 버전 이상에서 가능합니다. 그리고 Hyper-V  에 대한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가능한지 알아보는 방법은 명령 프롬프트를 띄워서 systeminfo를 입력합니다.

명령어 - systeminfo
명령어 - systeminfo 결과 중 Hyper-V 요구사항

os이름에 10 pro 를 확인 할 수 있고 맨 아래에는 Hyper-V 요구사항이 출력됩니다.

모두 "예" 로 표시되면 가능합니다.

 

윈도우 10 샌드박스 활성화

작업표시줄 검색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Windows 샌드박스 체크 > [확인]

Windows 샌드박스 기능 켜기

 

Windows 기능 변경완료

완료되었습니다. 

[다시 시작]을 눌러서 컴퓨터를 재 부팅합니다.

재 시작 완료 후 시작 버튼을 눌러 보면 Windows Sandbox 아이콘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샌드박스 실행창 입니다. 

Windows Sandbox 아이콘 생성

최초 로딩 시간이 좀 걸립니다.

시스템 사양에 따라 로딩 완료 시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당연히 사양이 좋을수록 빨리 로드 됩니다.

로딩 완료 후 샌드박스의 모습 입니다.

현재 사용중인 윈도우10 안에 또 다른 윈도우10이 실행된 모습 입니다.

샌드박스

 

윈도우10 샌드박스의 해상도는 기본적으로 내 컴퓨터  본체의 해상도를 따릅니다.

샌드박스는 실험용 윈도우10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특히 윈도우10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레지스트리 수정이라던지,

어떤 시스템 패치 등등의 실험을 샌드박스를 통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변경해가며 테스트를 하고 오류가 발생한다면 샌드박스를 끄고 다시 새것처럼 재시작할 수 있으니 시간적으로 상당히 유리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하는 진짜 윈도우10에서 실험을 해서 오류가 생기면 포맷하고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시간이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반응형